인력난 및 고용 불안정: 현황과 원인

인구구조 변화와 청년층 구직난

  • 2025년 4월 기준 청년층(15~29세) 실업률은 7.3%로, 전체 실업률(2.9%)에 비해 현저히 높습니다

  • 청년층의 '쉬었음' 인구(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인구)는 50만 명을 넘어섰으며,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입니다

  • 청년 고용률은 44.3%로 전년 대비 1.7%p 하락했고, 실업률은 7%로 상승해 청년 고용 위축이 심각합니다

  • 경력직 선호와 수시채용 확대로 인해 청년층의 취업 문턱이 높아지고, 낮은 질의 일자리와 직장 만족도 저하로 구직 단념 현상도 확산되고 있습니다

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

  • 인구 고령화로 인해 생산가능인구(15~64세)는 정체 혹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제조업, 건설업 등 주요 산업에서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

  • 특히 비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의 70%가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, 외국인 인력 활용 비중도 높아지고 있습니다

중소기업·제조업 인력난 심화

  • 제조 중소기업의 65%가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으며, 비수도권에서 그 비율이 더 높습니다. 임금 및 복지수준, 지역 일자리 기피, 사회적 인식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됩니다

  • 중소기업은 외국인 인력 도입, 설비 자동화 등으로 대응하고 있으나, 여전히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도 18%에 달합니다

산업별 고용 변화

  • IT, 소프트웨어, 반도체, 친환경 산업 등은 고용이 증가하고 있으나, 제조업, 도소매업, 건설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

  • 산업 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, 친환경 정책 등도 고용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

요약

  • 청년층의 구직난과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이 동시에 나타나며, 특히 중소기업과 제조업에서 인력난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

  • 청년 실업률은 높고, 구직 단념 현상도 확산되고 있으며, 중소기업은 외국인 인력 도입 등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근본적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

댓글 쓰기

0 댓글

태그

이미지alt태그 입력